이번 주 듀오링고 학습자를 위한 질문 코너 “듀오링고에 물어보세요”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전 글은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학습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듀오링고에 물어보세요”에 다시 돌아온 Emilie Zuniga 박사예요. 지난 코너에서는 불필요한 단어들에 대해 얘기했어요. 이번 주는 좀 다른 질문에 대답해 볼게요—이번 질문은 언어학자와 다중언어 구사자로서의 경험과 관련한 주제예요.

“듀오링고에 물어보세요”에 온 편지 이미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듀오링고에게, 저는 경쟁심이 강한 편이에요. 현재 다중언어 구사자가 되려 훈련중인데, 배우기 가장 어려운 언어가 뭔지 알고 싶어요. 이 질문에 대한 객관적인 답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도전이 좋아요 드림

짧은 답을 드리자면 가장 배우기 어려운 언어를 하나 꼽을 순 없어요. 한국어 구사자가 배우기 가장 어려운 언어조차도 하나만 꼽는 건 불가능해요! 

배우기 가장 어려운 몇 가지 언어들

하나만 고르기 어려운 이유는 그 기준이 객관적이지 않고, 대신 학습자가 어떤 언어를 (예: 한국어) 구사하는지에 따라 새 학습 언어의 난이도가 결정되기 때문이에요.  

학습 언어의 난이도를 결정할 때 고려되는 몇 가지 요소가 여기 있어요:

  • 쓰기 체계
  • 소리와 발음법 및 단어에서 소리를 결합하는 규칙
  • 문법의 복잡한 정도 (예: 단어 배열 순서, 격 체계 등)
  • 학습 언어의 문화 차이 및 그 문화가 문법에 반영된 범위 

이 요소를 기준으로 해서 가장 배우기 어려운 언어를 몇 가지 골라봤어요.

자 그럼, 가장 배우기 어려운 언어 다섯 가지를 순위에 상관없이 살펴볼까요?

일본어

일본어는 일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종종 고립어로 여겨져요—로망스어처럼 큰 어족에 속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사실, 오키나와의 류큐어와 밀접한 연관이 있지만,  일본어는 그 자체로 복잡하답니다.

일본어가 학습자에게 어려운 이유

쓰기 체계. 일본어의 쓰기 체계는 하나만이 아니에요. 사실 세 가지의 다른 쓰기 체계가 있는데, 각 체계는 다른 글자를 사용할 뿐 아니라, 단어를 생성하는 법도 달라요. 여러분의 모국어가 알파벳을 (예: 라틴어 알파벳) 사용하는 쓰기 체계를 가졌다면, 일본어의 세 쓰기 체계는 더욱 더 어려울 수 있어요: 두 가지 체계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는 음절 문자 체계인 반면, 세 번째 (간지)는 표어 문자 체계랍니다. 게다가 각 체계마다 사용하는 글자와 규칙들이 달라요. 

다른 레벨의 격식체. 모든 언어에는 격식의 유무가 있지만, 일본어의 경우는 그 정도가 훨씬 복잡해요. 일본어의 격식체는 다른 문화에는 없는 경우가 많고, 일본어 문법 속에도 내재되어 있어서 학습자가 배우기 복잡할 수 있어요. 세 가지 격식체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경칭(존경을 표시하는 단어 끝 형태), 이름과 호칭, 대명사, 심지어 동사의 끝부분 형태에도 영향을 준답니다! 

줄루어 (Zulu)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거주하는 천이백만 명 정도의 인구가 줄루어 (듀오링고에서 지금 배울 수 있어요!)를 모국어로 사용해요. 줄루어는 니제르-콩고 그룹에 속하는 반투 어족에 속해요. 반투 어족에 속하는 다른 언어들로는 호사족 어, 스와힐리 어, 쇼나어, 츠와나어가 있어요.

줄루어가 학습자에게 어려운 이유

소리 체계. 줄루어의 발음 중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두 가지가 있어요: 바로 클릭과 톤이에요. 새 언어를 배울 때 접하는 발음과는 달리, 클릭은 듣기엔 쉬워요… 하지만 초보 학습자가 실제 단어에서 발음하기는 좀 어려워요! 또한 줄루어에는 톤 체계가 있어서, 만다린 중국어 성조만큼 어렵진 않지만, 한국어처럼 톤이 존재하지 않는 언어 구사자에겐 오직 음의 높낮이 차이만 있는 두 단어를 구별하기란 쉽지 않아요. (그 높낮이 차이 발음법을 배우는 건 당연히 더 어렵겠죠!) 예를 들어, uyacula 는 “네가 노래한다”와 “그녀/그가 노래한다”라는 뜻이에요—쓰기 형태는 같지만, 발음 시 톤의 차이가 있어요. 낮은 톤의 u- 는 “너”를 의미하는 반면, 높은 톤은 “그녀/그”를 의미해요.

명사 그룹. 스페인어와 불어에서 여성 명사 vs. 남성 명사를 구분해 기억하는 게 어려웠다면, 줄루어는 그 이상이에요: 줄루어에는 명사 그룹이라 불리는 15가지 (혹은 최대 19가지!)의 명사 카테고리가 있답니다. 명사가 어떤 그룹에 속하느냐에 따라 문장 속 다른 단어들 (예: 동사, 형용사, 대명사 등)의 형태가 달라지므로 정확히 아는 게 의사소통에 중요해요. 어떤 카테고리는 문법적 기능을 설명하는 반면 (이건은 쉬운 편에 속해요 🫣), 다른 그룹들은 단어의 뜻에 기반하므로 예측하기가 더 힘들어요. 학습 초반에는 각 명사와 속한 그룹을 암기해야 한답니다!

꽁옹어 (!Xóõ)  

꽁옹어는 또 다른 아프리카 언어로, 이름 앞에 있는 “!” 표시는 클릭음을 나타내요. 하지만 줄루어와는 달리, 꽁옹어는 코이산어(Khoisan) 라는 전혀 다른 어족의 Tuu 브랜치에 속해요. 보츠와나와 나미비아에서 약 삼천 명이 사용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여겨져요. 

꽁옹어가 학습자에게 어려운 이유

꽁옹어는 도전 과제가 많은 언어예요: 명사 그룹들, 접합어 (한 단어에 많은 뜻을 접합하는 방식), 톤 체계. 그렇지만 꽁옹어에서 가장 어렵기로 유명한 건 뭘까요?

소리의 가짓수. 언어마다 사용하는 소리의 수가 다르지만, 꽁옹어는 세계 언어 중 가장 많은 발음 가짓수를 갖고 있어요. 최소한 네 개의 “기본” 클릭이 있는데 이조차도 여러 형태를 취해요 (예: 비음어기식음 버전). 그 결과, 클릭 발음 가짓수만 수십 개에 달해요. 이 외에도, 클릭이 없는 자음들은 다른 기능과 결합할 수 있어요—여러 모음들에 대해선 아직 언급도 안 했어요. 각 소리 발음법의 정확한 가짓수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대략 100~170 가지 정도 되고, 80 개의 클릭 수 (!)가 있어요. 여기서 잠깐 비교해 볼까요: 한국어에는 27개의 기본 소리 (음소)가 있답니다! 

아랍어

아랍어는 커다란 아시아, 아프리카 어족의 일부인 셈어에 속해요. 전세계 아랍어 구사자는 삼억천만 명이 넘고 중동과 북아프리카, 그리고 전세계 이주자 집단에서 널리 사용돼요. 

아랍어가 학습자에게 어려운 이유

쓰기 체계. 아랍어로 읽고 쓰길 원한다면, 아마도 이미 알고 있는 다른 언어들과는 많이 다른 알파벳을 배워야 할 거예요:

  • 아랍어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요.
  • 글자의 모양이 단어 속 어느 위치에 오느냐에 따라 조금씩 변해요 (많이 변하는 경우도 있어요 😅). 예를 들어, ج (jiim)이란 글자는 한 가지 아랍어 방언에서 mirage[-ge] 소리로 발음돼요. 글자 하나만 두고 보면 그렇지만, 이것이 첫 글자로 오면 (오른쪽에서 시작) جار (jaar, “이웃”) 으로 쓰고, 마지막 글자로 오면 (가장 왼쪽) ثلج (thalj, “눈”) 이런 식으로 쓰여요. 꽤 다르지 않나요?
  • 모음 중 표기가 생략되는 것도 있어요. 그러니까 단어들을 많이 알아야만, 아랍어를 읽을 때 생략된 모음을 알아보고 발음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한국어 “ㄷㅅ”를 보고 그 단어가 “도사, 도시, 두상, 다시” 등이 될 수 있는 것과 같아요. 문맥을 보면 단어의 의미와 발음법을 유추할 수 있어요. 또한 아랍어의 어원과 패턴 체계를 알면 특정 단어와 발음법을 문맥 없이도 정확히 유추하는 게 가능해요!

소리. 아랍어에는 한국어에는 없는 소리가 많아요. 예를 들어, 아랍어에는 두 가지 다른 ‘h’ 소리가 존재해요: house 에 있는 부드러운 “h” 소리, 그리고 한국어에는 없는 “더 깊은” “h” 소리가 있어요 (예:  حبيبي (Habiibii) “내 사랑”). 이 두 번째 소리를 발음하려면, 거울이나 창문 가까이 가서 입을 크게 벌리고 입김을 뿌옇게 불어 보세요. 바로 그거예요! 그게 아랍어의 H 소리를 발음하는 법이에요! (이제 다른 나머지 소리들을 얘기해 볼까요? 😅)

많은 종류의 아랍어. 아랍어에는 여러 방언이 있어요—아랍어를 하는 나라에서 온전히 언어를 사용하면서 살려면, 적어도 두 종류의 아랍어를 알아둬야 해요: 구어체 지역 방언 아랍어 (일상 생활, 격식 없는 대화, 로컬 미디어 등에서 사용), *그리고* 현대 표준 아랍어 (MSA)예요. 현대 표준 아랍어는 뉴스, 문학, 공식 문서, 일반 교육 및 종교 교육 등에 사용돼요. 또한, 쿠란 아랍어가 있어요—아랍 문화권에서는 쿠란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쿠란 아랍어의 단어들은 (그리고 문법도!) 사라지지 못했어요. 심지어 다른 아랍어 방언들이 변화를 거치는 동안에도요. 아랍어 학습자로서, 아랍 국가에서 친구를 사귀거나 듣는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로컬 방언, 표준 아랍어, 쿠란 아랍어의 모든 단어들을 알 필요는 없어요—하지만 더 깊이 있게 공부하고 싶다면, 정말 수도 없이 많은 단어들을 배울 준비를 해두기 바라요!

조지아어

남캅카스어족에 속하는 조지아 어는 주로 조지아에서 약 사백만 명의 사람들이 사용해요. 조지아는 터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카프카즈 지역에 있는 나라예요.

조지아어가 학습자에게 어려운 이유

소리. 보통 언어를 배울 때마다 새 소리를 마주하게 돼요—하지만 조지아 어의 경우엔, 카테고리 자체가 익숙하지 않은 소리들을 접하게 될 거예요. 이 소리들을 방출음이라고 부르는데, “p”, “t”, “k”와 다른 소리들을 발음할 때 목에서 “팝”하고 세게 터지는 소리가 나요. 클릭과 비슷하게, 듣기는 비교적 쉽지만, 직접 발음하긴 어려워요. 그래서 많은 연습이 필요할 거예요!

격 체계. 조지아 어 문법 중 한국어 구사자에게 가장 복잡한 부분은 아마도 격 체계일 거예요. 혹시 독일어, 러시아어, 그리스어, 또는 다른 여러 언어를 공부했다면, 격 체계가 익숙할 거예요: 주어는 주격, 직접 목적어는 대격 등을 의미해요. 이들과 조지아 어 격 체계 사이에 중요한 차이점이 있어요: 조지아 어는 혼합 격 체계를 가졌답니다. 👀

 

독일어, 러시아어, 그리스어는—그리고 오래 전 대부분의 격 체계를 상실한 영어조차도—동사가 다를지라도 주어는 기본적으로 형태가 같아요. 이는 동사의 목적어 유무와 상관없죠: 

  • [목적어 없음] The dog runs fast.
  • [목적어 있음] The dog eats meat.

이와 달리, 어떤 언어들은 격 체계를 전혀 다른 방식으로 표현해요—목적어가 없는 동사의 주어 형태가 목적어가 있는 동사의 주어와 다른 형태를 취하는 거죠. 🤯 그런 경우, 목적어가 없는 동사의 주어는 목적어가 있는 동사의 직접 목적어와 같은 격으로 표시한답니다!

걱정 마세요. 조지어 어는 그렇지 않아요. 대신, *두 가지* 모두를 혼합한 격 체계를 사용해요! 여러분이 한국어 구사자로서 조지어 어를 배우게 된다면, 하나가 아닌 두 개의 격 체계를 배우게 될 거란 의미예요. 그리고 언제 어떤 격을 써야할 지 결정해야겠죠. 후! 진정한 두뇌 훈련이 될 것 같지 않나요? 🧠

“어려운” 언어들 때문에 겁먹지 말아요 💪

여러분이 “쉬운” 또는 “어려운” 언어를 고르건, 그 학습 여정은 언어학적 그리고 문화적 탐방으로 가득한 멋진 여정이 될 거예요! 배우기 불가능한 언어란 없어요. 또한, 특정 언어가 배우기 어렵다고 해서 그 언어의 가치가 더 높은 건 아니에요. 언어는 그 언어를 하는 사람들, 그들의 역사, 지혜, 신념, 그리고 그들을 인간으로 만드는 그 모든 것을 대표한답니다. 💚

언어 및 언어 공부에 대한 다른 궁금증이 있으시면 dearduolingo@duolingo.com으로 문의해주세요!